2020년 9월 25일 금요일

[주식공부] 증권과 주식을 구분해보자.


주식과 증권은 특별한 구분없이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평소에는 혼용해서 사용해도 주식과 증권의 차이 때문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주식과 증권의 정확한 뜻을 알고 제대로 사용하는 것 좋겠지요. 그래서 이번에는 주식과 증권의 정확한 뜻과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주식공부] 증권과 주식을 구분해보자.

1. 증권

사전적 의미부터 알아보면 증권은 '유가 증권'의 줄임말입니다.
그럼 유가증권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사법상 재산권을 표시한 증권. 권리의 발생, 행사, 이전이 증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어음, 수표, 채권, 주권, 선하 증권, 상품권 따위가 있다.

증권, 즉 유가증권은 증권사를 통해서 발생되기도 하고, 은행, 보험사 등 각종 금융기관을 통해서 발생되기도 합니다. 보통 증권사에서 주식을 거래하기 때문에 증권과 주식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지만, 증권은 주식보다 더 큰 범주에 속해 있습니다. 주식은 증권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증권의 종류는 위에 '유가증권의 사전적 의미'에서 나온 것과 같이 어음, 수표 등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증권을 좀더 세분하게 구분하면 아래와 같이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 채무증권: 국채, 지방채 등 채권, 어음 등 지급청구권이 표시된 것
  • 수익증권: 신탁수익증권 등 신탁의 수익권이 표시된 것
  • 지분증권: 주식, 신주인수권 등 출자지분이 표시된 것
  • 계약증권
  • 파생결합증권
  • 예탁증권


2. 주식

주식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증권 중에 지분증권의 속합니다. 주식의 사전적 의미를 보겠습니다.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 / 주주의 출자에 대하여 교부하는 유가 증권.

주식은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합니다. 좀 더 쉽게 얘기하면 회사의 지분을 나누는 단위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즉 어떤 회사가 100개의 주식을 발행했는데, 내가 이 회사의 주식 10개를 가지고 있다면, 회사의 지분 10%를 가지고 있는 것이고, 나는 회사에 대해서 순이익과 순자산에 대한 10%의 지분청구권을 가지게 됩니다. 


주식이 증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주식을 증권으로 표현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를 따질 때에는 반드시 구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20년 9월 2일 수요일

[참고자료]성범죄자 지역별 통계(2020년 08월 31일 기준)


성범죄자 지역별 통계


성범죄(아동과 성인대상)중 법원에서 신상정보 공개명령을 받아 성범죄자알림e에 공개된 성범죄자수에 대한 지역별 통계입니다.

지역 성범죄자(명)
강원도 133
경기도 854
경상남도 264
경상북도 228
광주광역시 124
기타 599
대구광역시 177
대전광역시 98
부산광역시 208
서울특별시 543
세종특별자치시 6
울산광역시 71
인천광역시 233
전라남도 182
전라북도 188
제주특별자치도 48
충청남도 193
충청북도 131
출처: 여성가족부, 2020년 8월 31일 기준

※ 지역은 가나다순 배열입니다.
※ '기타'는 수감 등의 사유로 거주지가 정해지지 않은 성범죄자 수입니다.


2020년 8월 12일 수요일

[주식공부] EPS(주당순이익)의 개념과 활용


주식투자를 위해서 종목을 선정할 때, 해당 주식과 회사의 많은 부분을 보게 됩니다.

단순히 소문만 듣고, 장세에 휩쓸려 비합리적인 투자를 하는 뇌동매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차트분석, 재무재표분석, 뉴스와 공시 확인 등 다방면으로 분석을 합니다.

주식투자 종목선정시 가장 기본적으로 보게 되는 EPS(주당순이익)의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식공부] EPS(주당순이익)의 개념과 활용


EPS는 우리말로 '주당순이익'이라고 하고, 'Earnings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EPS를 간단히 설명하면

해당연도의 당기순이익을 발행총주식수로 나눈 것

입니다.


수식으로는 

EPS(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총 주식수

와 같이 표현합니다.


주당순이익은 설명과 수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1개 주식이 1년간 벌어들인 순이익을 나타냅니다.


EPS 확인하기
종목의 EPS 확인


주식종목 선택에서 왜 EPS가 중요한가요?


주식 매입을 위해서 종목을 선정할 때는 그 누구도 주가가 떨어지기를 바라는 사람은 없습니다. 주식회사가 사업을 잘 영위해서 수익을 창출하여 그 회사의 가치가 올라가고, 그 가치가 주가에 반영되어 주가상승이 되고, 그로써 시세차익과 배당수익을 얻기를 바라는게 당연할 것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회사가 발전할지, 아니면 망하게 될지 알 수 있을까요? 개인투자자의 입장에서 회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공개된 정보'에 의존을 합니다. 그런 공개된 정보 중, 회사의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수익지표) 중 주식 당 수익을 나타내는 것이 EPS입니다.


따라서 EPS를 보면 그 회사가 수익을 내고 있는 회사인지, 수익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EPS가 100원이고, 발행주식수가 1,000,000개이면, 당기순이익은 100,000,000원이 됩니다.

반대로 당기순이익이 100,000,000원이고 발생주식수가 1,000,000개이면, EPS는 100원이 됩니다. 즉 주식 1개당 100원의 순이익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EPS와 비슷한 지표 중에 PER가 있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는 주가(주식가격)가 1주당 순이익(EPS)의 몇 배가 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에 대한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참조: PER, PBR, ROI, ROA, ROE 주식가치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 알아보기


주식 종목을 선택하는데는 계속 언급드렸듯이 많은 측면에서 확인을 해야 됩니다.


EPS와 주식종목 선정시 유의사항


EPS가 다른 회사보다 좋다고 해도, PER가 너무 높으면, 그 회사는 시장에서 과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그런 회사가 투자 가치가 없는 것일까요? 주식시장은 기대를 먹고 자라는 나무라고 합니다. 따라서 EPS만 보고 PER만 보고 주가를 예상하는 것은 매우 힘듭니다.


하지만, 투자시 충분히 고려할 만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서 위에 그림으로 본 '현대비엔지스틸'을 보겠습니다.


현대비엔지스틸의 EPS와 PER를 보겠습니다.

EPS: 763원, PER: 10.72

먼저 EPS가 763원으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긍정
PER는 주가대비 EPS가 10.72입니다. PER 낮은게 좋겠지만, 업종PER이 13.95로 업종PER에 비해서 낮습니다. 긍정

위와 같이 EPS와 PER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수익에 대해서 분석이 가능합니다. 정상적으로 회사가 운영된다면, 수익을 내고 있고, 주가도 수익대비 낮게 평가가 되어 있기 때문에 추후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EPS나 PER, ROE 등과 같이 몇 개의 지표만 보고 종목을 선택하고 투자하는 것은 좋은 수익을 내기 어렵습니다. 


전체적인 시장의 흐름과 기술, 시장 동향, 미래발전성 등을 같이 봐야겠지요. 하지만, 최소한 회사가 사업수익을 내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니, 기본적으로 이러한 수익지표를 종목선정시 참조하시면 성공투자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0년 7월 31일 금요일

[참고자료]성범죄자 지역별 통계(2020년 07월 31일 기준)


성범죄자 지역별 통계


성범죄(아동과 성인대상)중 법원에서 신상정보 공개명령을 받아 성범죄자알림e에 공개된 성범죄자수에 대한 지역별 통계입니다.

지역 성범죄자(명)
강원도 136
경기도 866
경상남도 275
경상북도 225
광주광역시 119
기타 603
대구광역시 180
대전광역시 96
부산광역시 211
서울특별시 542
세종특별자치시 6
울산광역시 74
인천광역시 237
전라남도 183
전라북도 186
제주특별자치도 48
충청남도 194
충청북도 130
출처: 여성가족부, 2020년 7월 31일 기준

※ 지역은 가나다순 배열입니다.


[주식공부] ETF와 ETN 간단하게 비교하기

ETF와 ETN은 이름도 비슷하지만, 상품의 수익구조나 거래방식(거래소 거래) 등 매우 유사한 점이 많이 있습니다.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거의 동등하게 생각해도 무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ETF와 ETN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공부] ETF와 ETN 간단하게 비교하기


[관련링크]


ETF와 ETN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앞서서 둘의 공통점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ETF와 ETN의 공통점


첫번째 공통점은 ETF와 ETN의 상품유형이 지수추종형 상품으로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ETF와 ETN 모두 거래소를 통해서 쉽게 거래가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세번째는 ETN상품에 따라 예외는 있으나, 기초자산의 가격(지수)를 추종하는 선형 수익구조라는 점에서 ETF와 ETN의 수익구조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ETF와 ETN의 차이점


ETF와 ETN의 차이점을 먼저 간단한 표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ETF와 ETN의 차이점

간단하게 표로 정리한 내용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ETF는 자산운용사가 ETN은 증권사가 발행을 합니다.

법적성격 ETF는 자산운용사가 고객의 돈을 모아서 투자자산을 운용하는 펀드라면, ETN은 증권사가 고객에게 고객의 투자금에 대한 수익과 운용에 대한 약정(약속)을 하고 그 약정에 대한 채권을 발급하는 것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ETF와 ETN의 주의할 만한 차이점은 바로 '만기'의 유무입니다.
ETF는 만기가 없이 계속 운용이 되는 형태라면, ETN은 1~3년 정도의 만기를 가지고 운영이 됩니다. 따라서 ETN을 만기까지 보유하게 되면, 만기 수익과 그에 따른 세금이 부과됩니다.

추적오차라는 것은 비슷한 개념으로 괴리율이라고 합니다. ETF는 기초자산에 실제 투자를 하는데, 투자하는 비율이나 매입시기에 따라서 기초자산의 수익율과 ETF의 수익율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ETN은 수익이 약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적오차가 없습니다.

ETN과 ETF를 비교할 때, 신용위험을 꼭 언급합니다.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ETF는 실제 기초자산에 투자를 하여 보유를 하기 때문에 신용위험이 없고, ETN은 투자하겠다고 약속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용위험이 있습니다. 즉 ETF는 자산운용사가 망해도 ETF에서 보유 중인 자산은 ETF의 권리를 가지고 있는 투자자에게 연결이 되지만, ETN은 증권사가 망하면, 증권사와 투자자 간에는 채권(약속)만 있기 때문에 투자자는 투자금을 크게 손해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ETF는 예금자 보호가 안되고 ETN은 예금자 보호가 된다?


그런데 이걸 '예금자보호'와 연계시켜서 ETN는 예금자 보호가 안되고 ETF는 예금자 보호가 된다고 설명하는 글을 본 것이 있는데, 이건 완전 잘못된 정보입니다.

먼저 ETN과 ETF는 예금이 아닙니다. 애초에 성격이 예금과 다릅니다. 위에 설명과 같이 ETF는 투자금이 실물투자 되어 운용사가 망해도 실물투자된 자산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지, 그게 투자금이 보호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KOSPI200 지수 추종의 ETF의 경우는 우리나라 코스피200 종목이 모두 망하지 않는 이상 자산이 남게 됩니다. 그러나 ETN은 KOSPI200 종목의 생사와 관련없이 ETN를 운용하는 증권사가 망하게 되면, ETN를 담보로한 채권의 가치가 사라지게 됩니다.


이상으로 ETF와 ETN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ETF와 ETN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차이를 잘 이해하고 투자하면, 좋은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2020년 7월 30일 목요일

[블로그관리]블로거(blogger)에 네이버 이웃커넥트 위젯 설치하기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 블로그가 가장 점유율이 높습니다. 또 많은 분들이 네이버 블로그를 많이 쓰고, 네이버 검색에서도 노출에 유리한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버블로그의 자유도 측면에서 만족을 못하는 분들이 저처럼 블로거(blogger)나 티스토리(tistory) 같은 네이버블로그가 아닌 블로그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네이버를 쓰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네이버와 블로그를 연결해 놓으면 사용자도, 블로거도 유리한 면이 많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블로그에 네이버 이웃시스템을 연결할 수 있는 '네이버 이웃커넥트'서비스를 소개하고 '블로거'에 연결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네이버 이웃커넥트 소개
네이버 이웃 커넥트 [바로 가기 링크]

네이버 이웃커넥트를 블로그에 연결하기 위해서 이웃 커넥트 위젯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웃커넥트 위젯을 만드는 방법은 아주 싶습니다. 먼저 위에 '바로 가기 링크'로 들어가서 이웃 커넥트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그럼 네이버 이웃 커넥트 위젯을 만드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네이버 이웃커넥트 위젯 만들기 1

이웃커넥트 위젯을 만들기 위해서 위젯 설정을 해줘야 됩니다.

이 때, 맨 처음으로 '다른 블로그로 퍼가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연결할 블로그의 주소와 위젯의 모양과 스타일을 정해줍니다. 우측의 위젯 예시가 설정을 바꿀 때마다 바로바로 반영이 되서 보이기 때문에 설정을 정하기 매우 쉽습니다.

네이버 이웃커넥트 위젯 만들기 2

밑으로 내려서 설정을 마무리 해줍니다. 이때 기본탭 설정에서 '나를 추가한 이웃'을 설정해주면, 네이버를 통해서 몇명이 자신의 블로그를 구독 중인지 표시해줍니다.

나를 추가한 이웃 탭에서 구독자 표시
'나를 추가한 이웃'탭에서 구독자 표시

설정이 마무리 되면, '퍼가기' 버튼을 누르면, 설치할 위젯을 코드가 발급됩니다.

이웃커넥트 코드 발급 완료

발급된 코드를 복사해서 넣고 싶은 곳에 넣으면 됩니다.


그럼 블로거(blogger)에서 만든 코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이웃커넥트 위젯은 블로거에서 레이아웃 설정에서 가젯추가를 통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웃커넷트 위젯은 아직은 사이드바에 적용되는 크기와 모양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바에 추가를 하겠습니다.

먼저 '페이지' 메뉴로 이동을 합니다.

블로거 가젯 추가
블로거(blogger) 페이지 설정

페이지에서 '사이드바'에서 '+ 가젯 추가'를 선택합니다.


가젯 추가 창에서 'HTML/JavaScript'를 선택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면, 제목과 코드를 넣어서 가젯을 추가합니다.


이제 추가된 가젯을 드래그엔드롭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 시킵니다.

블로거 가젯 위치변경

이렇게 하면 자신의 블로그에 네이버 이웃커넥트 위젯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티스토리의 경우도 플러그인에서 '배너출력'을 이용해서 같은 방식으로 '사이드바'에 추가가 가능합니다.

이웃커넥트 위젯 설치 완료
이웃커넥트 위젯 설치 완료

블로거나 티스토리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보다 네이버 생태계 활용이 제한되는데,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이웃커넥트 위젯을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0년 7월 27일 월요일

[주식공부] VI(주식변동성완화장치)이란? 발동기준과 주의점




주식관련 뉴스나 종목게시판 등을 보면 OO종목이 VI가 발동되었다. 또는 VI발동 종목 리스트 등 VI라는 단어를 보게 됩니다. VI는 주식변동성완화장치라는 뜻인데, VI의 발동기준과 주의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공부] VI(주식변동성완화장치)이란? 발동 기준과 주의점


VI는 'Volatility Interrup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변동성 완화장치'라고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서킷브레이커와 비슷한 장치입니다. 하지만, 서킷브레이커는 시장전체에 대한 완화장치라면, VI는 개별종목에 대한 완화장치입니다.

종목가격을 조회해서 호가창을 보면 상승VI, 하락VI와 전일종가가 나와있습니다.
이렇게 호가창에 나와있는 VI를 정적VI라고 합니다.

호가창에 나와있는 정적 VI
호가창에 나와있는 정적 VI

VI는 정적 VI와 동적 VI, 두가지로 구분이 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정적VI는 기준가의 10%의 변동을 보이면 발동이 되고, 동적 VI는 종목별, 거래별 기준가의 2~6%의 변동이 발생시 발동이 됩니다.





정적VI, 동적VI의 발동기준


VI의 발동기준을 적용종목과 적용시간, 기준이 되는 참조가격 등으로 구분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실제로 발동사례를 많이 볼 수 있는 정적VI의 발동기준입니다.

구분 정적VI
적용 종목 주식, 외국주식예탁증권(DR), 수익증권, ETF, ETN
비적용 종목 정리매매종목과 단기과열종목, 채권, ELW
적용 시간 정규시장 시간동안 적용되며 시간외단일가매매는 미적용
참조가격 1. 호가제출시점 이전 마지막에 체결된 단일가 체결가격
2. 시가결정전일 경우 당일 기준가격(전일종가)
3. 시가결정후일 경우 직전 단일가격(당일시가)
발동기준 참조가격 ± ( 참조가격 × 발동가격율(10%))
제한사항 매매거래중단없이 2분간 단일가매매
비고 발동횟수 제한 없음

참조가격을 기준으로 10%의 변동이 있으면 정적VI가 발동합니다.

이번에는 동적V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동적VI
적용 종목 주식, 외국주식예탁증권(DR), 수익증권, ETF
비적용 종목 정리매매종목, 단기과열종목, 코스닥 관리 종목,
채권, ELW, 신주인수권증권(증서)
적용 시간 09:00~18:00(시간외종가 미적용)
참조가격 호가제출시점의 직전 체결가격
발동기준 참조가격 ± (참조가격 × 발동가격율)
*발동가격율 아래표 참조
제한사항 매매거래중단없이 2분간 단일가매매
비고 발동횟수 제한 없음

동적VI의 발동가격율


동적 VI 발동가격율
구분
접속
매매시간
종가단일가
매매시간
시간외단일가
매매시간
시간
09:00~15:20
15:20~15:30
16:00~18:00
주식
(KOSPI200포함)
3%
2%
3%
주식
(유가 일반, 코스닥)
6%
4%
6%
ETF/ETN
(국내 주식지수, 인버스, 채권)
3%
2%
3%
ETF/ETN
(레버리지, 섹터/해외지수 등)
6%
4%
6%


동적VI는 정적VI보다 조금 복잡합니다. 바로 직전의 체결가격에서 해당되는 발동가격율보다 변동이 크게 발생하면 VI가 발동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바로 직전 체결가가 10,000원인데, 다음 체결가가 10,600원이면 발동하게 됩니다.  정적VI에 비해서 동적VI가 많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위에 예에서 10,000원이상의 주식이면 호가단위가 50원인데, 호가단위의 12배를 한번에 뛰어넘어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흔치 않습니다.




VI발동된 종목 검색하는 방법

VI가 발동된 종목은 증권사 앱이나 HTS를 이용해서 쉽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VI발동현황
VI발동현황 조회

VI가 발동된 종목을 투자 대상 종목으로 선정하려는 경우나, 어떤 종목들이 과열되고 있는지 확인할 때, 참고로 볼 수 있습니다.

VI발동시 주의사항


VI는 주식종목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발동됩니다. 즉 정상적인 변동성을 벗어난 상태라는 뜻입니다.

주가상승에 따른 VI발동은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반대로 주가하락에 따른 VI발동은 부정적으로 평가됩니다.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시점에서는 상승VI가 반갑습니다. 또한 주식의 매수 타이밍을 잡고 있는 시점에서도 상승VI는 단일가 매매를 통해 매수할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상승에 따른 VI발동이 되었다고, 호재라 생각하고 진입을 하거나,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상승 VI발동 종목만 골라서 투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식정보를 보다보면, 상승 VI발동을 주식 매입의 타이밍으로 설명하는 곳까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한가를 도달하기 전에 VI를 거치기 때문에 VI종목을 골라서 매입해서 상한가에 매도하는 전략을 구상하기도 하는데, 이는 매우 주의해야할 투자방법입니다.

물론 위험하기 때문에 수익을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High risk, high return) 그러나, 그런식의 투자는 흔히 세력의 속임수에 빠지기 쉽고, 상승여력이 다한 종목에 투자할 경우, 박스권에 진입하거나 하락하는 경우에 수익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전에는 단순히 소문(찌라시), 그래프, 거래량, 단기적 가격추세만 볼 것이 아니라 종목에 대한 다면적 분석이 선행되어야 됩니다. VI가 발동된 이유를 분석하고, 현재 진입시 실현할 수 있는 투자수익과 투자기간 등을 투자 전에 고려하시길 바랍니다.